데이터분석가
부문
01. 마이리얼트립
직군
04. 데이터
고용형태
정규직
근무지
01. 마이리얼트립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대로 311, 18층

The North ​Star

"여행 ​경험의 ​완전한 연결" 

 

마이리얼트립은 ​모든 여행자들이 더 쉽게 ​취향에 ​맞는 여행을 ​계획하고 경험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비전을 ​이루기 위해 ​가장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여행의 ​경험을 ​변화시켜 나갈 인재분들을 ​모시고 ​있습니다.




마이리얼트립이 ​지향하는 개발 문화인 ​'Product Engineer'에 ​대해 ​알려드려요.


AI 시대, ​개발자의 역할은 ​한 ​분야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마이리얼트립의 ​Product Engineer는 ​고객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이 실제로 효과를 발휘할 때까지 끝까지 책임지는 개발자입니다.

우리는 기술 전문성을 기반으로, 제품과 고객 경험 전반을 아우르며 이렇게 일합니다.

 

  • 고객 중심 문제 정의
  • 사용자와 고객의 관점에서 사고하며, 겉으로 드러난 증상보다 근본 원인을 찾아냅니다.
  • “무엇을 만들 것인가?”보다 “왜 만들어야 하는가?”를 먼저 고민하고, 문제 해결의 방향을 스스로 설정합니다.


  • 경계 없는 문제 해결
  • 다양한 기술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며, 문제를 가장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 실행합니다.
  • 필요하다면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적용하며, 역할과 역량을 확장합니다.


  • 민첩하게 실행, 개선
  • 복잡한 절차를 줄여 빠르게 결정하고, 짧은 피드백 주기로 지속적으로 제품을 개선합니다.


  • 끝까지 책임지는 태도
  • 릴리즈가 끝이 아니라, 고객의 문제가 사라질 때까지 개선과 운영을 이어갑니다.


마이리얼트립의 Product Engineer는 기술과 역할의 경계를 넘어 고객 가치가 현실이 될 때까지 끝까지 책임지는 개발자입니다.




함께 일하게 될 팀과 데이터분석가가 하는 일에 대해 알려드려요.


[함께 일하게 될 팀]

  • 마이리얼트립 데이터분석팀의 결과물은 보고서가 아니라, 개선된 서비스와 프로세스입니다.
  • 마이리얼트립에서는 '분석 보고서'를 쓰지 않습니다. 데이터의 진정한 가치는 보고서가 아니라, 이를 통해 개선된 서비스와 프로세스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이리얼트립 데이터 분석가들은 Product Manager 와 굉장히 긴밀하게 협업합니다. 목표 지표를 정의하고,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만들고, 실험을 진행하고, 성과를 분석하는 전 Production의 과정을 주도적으로 진행합니다.


  • 데이터 엔지니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흥미로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 마이리얼트립은 데이터 분석 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고, 분석팀과 엔지니어링 팀이 긴밀하게 협업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항공, 숙박, 투어, 마이팩 등 여행 서비스의 모든 영역에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흥미로운 문제를 푸는 일을 합니다.

 

  • 전사적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 일하는 문화가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 경영진을 비롯한 모든 멤버들이 데이터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SQL 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많은 직원들이 데이터 기반으로 일하는 데 익숙합니다. 간단한 데이터 추출은 각 부서에서 직접 진행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분석가들은 '추출' 보다는 '분석' 업무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분석가가 하는 일]

  • 마이팩 데이터 분석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요를 미리 읽고 ‘언제, 어떤 상품을 내놓을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상세 → 구매 전환 퍼널을 데이터로 살피며 병목을 없애고, 기획전·상시 상품의 성과를 실험으로 검증하며 마이팩 버티컬의 성장을 도모 합니다.


  • 교통·통신 데이터 분석
  • Rail Europe 구간권(P2P) 연동을 시작으로 일본 JR 패스·해외 렌터카 등 다양한 이동 수단을 순차적으로 통합하려 합니다. 데이터 분석가는 고객 여정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해 최적의 교통 옵션을 추천하고, 항공·숙소·투어와 매끄럽게 이어지는 원스톱 여행 준비 경험을 제공하도록 합니다. 분석을 통해 교통·통신관련 고객의 여행을 진정으로 돕고, 팀과 서비스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 End-to-End 문제 해결 & 데이터 문화 확산
  • 문제 정의 → 데이터 모델링 → 실험 설계 → 제품 반영까지 주도적 오너십을 가지고, 반복 작업은 Generative AI·Workflow Automation으로 효율화 합니다.
  • 전사 구성원이 데이터를 ‘읽고·쓰고·행동’할 수 있도록 교육 및 가이드를 제공하여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만듭니다.




이런 역량이 있는 분을 찾고 있어요.


  • 데이터 조작 및 분석 능력
  • SQ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분
  • Python/R 로 데이터를 가공·전처리하고, 시각화까지 일관되게 수행할 수 있는 분


  • 기본적인 통계 및 분석 역량
  • 기초 통계학·실험 설계(Design of Experiments)를 이해하고 있는 분
  • A/B 테스트, 퍼널 분석 등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데이터 기반의 변화 추진 능력
  •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나 업무 프로세스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분
  • 개발자, 디자이너, PM, 비즈니스 담당자 등 다양한 직군과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는 분




우대사항


  •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끝까지 해결하려는 오너십을 지닌 분
  • 난관이 와도 쉽게 포기하지 않고 집요하게 파고드는 분
  • 익숙하지 않은 영역도 과감히 도전하며 자기 성장을 추구하는 분
  • AI·자동화 도구(Generative AI, AutoML, Prompt Engineering 등)를 활용해
  • 반복적인 분석·리포트·Batch 작업을 자동화하고 팀 생산성을 향상시킨 경험

LLM·RAG 기반 분석/서비스 프로토타입을 신속히 구축하거나 운영에 적용한 사례

  • AI 기술을 팀원에게 전파하고 분석 워크플로를 ‘지능형’으로 고도화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분




합류 여정


서류지원 > 과제테스트 > 1차 면접 > 2차 면접 > 3차 면접 > 레퍼런스 체크 > 처우협의 > 입사일 조율

공유하기
데이터분석가

The North ​Star

"여행 ​경험의 ​완전한 연결" 

 

마이리얼트립은 ​모든 여행자들이 더 쉽게 ​취향에 ​맞는 여행을 ​계획하고 경험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갑니다. 비전을 ​이루기 위해 ​가장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방식으로 여행의 ​경험을 ​변화시켜 나갈 인재분들을 ​모시고 ​있습니다.




마이리얼트립이 ​지향하는 개발 문화인 ​'Product Engineer'에 ​대해 ​알려드려요.


AI 시대, ​개발자의 역할은 ​한 ​분야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마이리얼트립의 ​Product Engineer는 ​고객의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책이 실제로 효과를 발휘할 때까지 끝까지 책임지는 개발자입니다.

우리는 기술 전문성을 기반으로, 제품과 고객 경험 전반을 아우르며 이렇게 일합니다.

 

  • 고객 중심 문제 정의
  • 사용자와 고객의 관점에서 사고하며, 겉으로 드러난 증상보다 근본 원인을 찾아냅니다.
  • “무엇을 만들 것인가?”보다 “왜 만들어야 하는가?”를 먼저 고민하고, 문제 해결의 방향을 스스로 설정합니다.


  • 경계 없는 문제 해결
  • 다양한 기술 영역의 경계를 넘나들며, 문제를 가장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스스로 찾아 실행합니다.
  • 필요하다면 새로운 기술을 배우고 적용하며, 역할과 역량을 확장합니다.


  • 민첩하게 실행, 개선
  • 복잡한 절차를 줄여 빠르게 결정하고, 짧은 피드백 주기로 지속적으로 제품을 개선합니다.


  • 끝까지 책임지는 태도
  • 릴리즈가 끝이 아니라, 고객의 문제가 사라질 때까지 개선과 운영을 이어갑니다.


마이리얼트립의 Product Engineer는 기술과 역할의 경계를 넘어 고객 가치가 현실이 될 때까지 끝까지 책임지는 개발자입니다.




함께 일하게 될 팀과 데이터분석가가 하는 일에 대해 알려드려요.


[함께 일하게 될 팀]

  • 마이리얼트립 데이터분석팀의 결과물은 보고서가 아니라, 개선된 서비스와 프로세스입니다.
  • 마이리얼트립에서는 '분석 보고서'를 쓰지 않습니다. 데이터의 진정한 가치는 보고서가 아니라, 이를 통해 개선된 서비스와 프로세스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마이리얼트립 데이터 분석가들은 Product Manager 와 굉장히 긴밀하게 협업합니다. 목표 지표를 정의하고, 측정을 위한 시스템을 만들고, 실험을 진행하고, 성과를 분석하는 전 Production의 과정을 주도적으로 진행합니다.


  • 데이터 엔지니어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으며, 흥미로운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 마이리얼트립은 데이터 분석 환경이 잘 갖추어져 있고, 분석팀과 엔지니어링 팀이 긴밀하게 협업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항공, 숙박, 투어, 마이팩 등 여행 서비스의 모든 영역에서 데이터를 활용하여 흥미로운 문제를 푸는 일을 합니다.

 

  • 전사적으로 데이터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데이터 기반 일하는 문화가 잘 갖추어져 있습니다.
  • 경영진을 비롯한 모든 멤버들이 데이터의 중요성을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전직원을 대상으로 하는 SQL 교육을 진행하고 있고, 많은 직원들이 데이터 기반으로 일하는 데 익숙합니다. 간단한 데이터 추출은 각 부서에서 직접 진행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분석가들은 '추출' 보다는 '분석' 업무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울일 수 있습니다.

 

[데이터분석가가 하는 일]

  • 마이팩 데이터 분석
  • 데이터 분석을 통해 수요를 미리 읽고 ‘언제, 어떤 상품을 내놓을지’ 결정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 상세 → 구매 전환 퍼널을 데이터로 살피며 병목을 없애고, 기획전·상시 상품의 성과를 실험으로 검증하며 마이팩 버티컬의 성장을 도모 합니다.


  • 교통·통신 데이터 분석
  • Rail Europe 구간권(P2P) 연동을 시작으로 일본 JR 패스·해외 렌터카 등 다양한 이동 수단을 순차적으로 통합하려 합니다. 데이터 분석가는 고객 여정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해 최적의 교통 옵션을 추천하고, 항공·숙소·투어와 매끄럽게 이어지는 원스톱 여행 준비 경험을 제공하도록 합니다. 분석을 통해 교통·통신관련 고객의 여행을 진정으로 돕고, 팀과 서비스가 함께 성장할 수 있도록 합니다.


  • End-to-End 문제 해결 & 데이터 문화 확산
  • 문제 정의 → 데이터 모델링 → 실험 설계 → 제품 반영까지 주도적 오너십을 가지고, 반복 작업은 Generative AI·Workflow Automation으로 효율화 합니다.
  • 전사 구성원이 데이터를 ‘읽고·쓰고·행동’할 수 있도록 교육 및 가이드를 제공하여 함께 성장하는 문화를 만듭니다.




이런 역량이 있는 분을 찾고 있어요.


  • 데이터 조작 및 분석 능력
  • SQL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는 분
  • Python/R 로 데이터를 가공·전처리하고, 시각화까지 일관되게 수행할 수 있는 분


  • 기본적인 통계 및 분석 역량
  • 기초 통계학·실험 설계(Design of Experiments)를 이해하고 있는 분
  • A/B 테스트, 퍼널 분석 등을 실제 서비스에 적용해 본 경험이 있는 분


  • 데이터 기반의 변화 추진 능력
  •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나 업무 프로세스에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는 분
  • 개발자, 디자이너, PM, 비즈니스 담당자 등 다양한 직군과 원활하게 협업할 수 있는 분




우대사항


  • 문제를 스스로 정의하고 끝까지 해결하려는 오너십을 지닌 분
  • 난관이 와도 쉽게 포기하지 않고 집요하게 파고드는 분
  • 익숙하지 않은 영역도 과감히 도전하며 자기 성장을 추구하는 분
  • AI·자동화 도구(Generative AI, AutoML, Prompt Engineering 등)를 활용해
  • 반복적인 분석·리포트·Batch 작업을 자동화하고 팀 생산성을 향상시킨 경험

LLM·RAG 기반 분석/서비스 프로토타입을 신속히 구축하거나 운영에 적용한 사례

  • AI 기술을 팀원에게 전파하고 분석 워크플로를 ‘지능형’으로 고도화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분




합류 여정


서류지원 > 과제테스트 > 1차 면접 > 2차 면접 > 3차 면접 > 레퍼런스 체크 > 처우협의 > 입사일 조율